본문 바로가기
아이고 아이패드. iGo iPad

아이패드는 왜 성공할 수 밖에 없는가?

by 202020 2010. 4. 12.
반응형

아이팟, 아이폰, 아이패드...

시장에 처음 선보일때는 매니아들만 아우성대다가 결국 하나의 거대한 트랜드로 자리잡는 애플의 힘!




전세계적으로 아이패드의 행보가 주목받고 있는 이유다.
또, 아이팟, 아이폰 처럼 하나의 히트상품으로 자리 잡을 것인가?
아니면 이번에는 기존 IBM 노트북(넷북, 타블렛) 시장과 전자책(e-book) 시장에 밀려 실패할 것인가?

현재까지의 분위기상으로는 아이폰을 넘어설 수는 없지만
아이폰 만큼의 상당한 성공을 거둘 것으로 예상된다.


아직 아이폰의 성공은 현재진행형이며 앞으로 더욱 큰 시장을 창출할 것이 분명하다.
아이패드가 아이폰을 뛰어넘지는 못하더라도 그만큼의 성공할 것이라는데에는 이유가 있다.

아이폰은 휴대폰으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는 생활 필수품이다. 하지만 아이패드는 필수품은 아니다.
휴대폰(아이폰) 없이는 살 수 없어도 아이패드 없이는 살 수 있다.
이것이 아이패드가 아이폰을 뛰어넘을 수 없는 근본적인 이유이다.



이제 삶속에서 지갑을 놓고 나갈지언정 휴대폰을 놓고 갈 수는 없다.
아이폰을 매일 매순간 몸에 지니고 다닌다는 점이 아이폰의 매출 상승을 더욱 부추기는 상황이다.
어차피 휴대폰은 필수품인데, 다른 휴대폰보다 멋있으면서 유용한 기능도 많으니 소비자가 선택할 수 밖에 없다. 

아이패드는 구지 없어도 된다. 책 1권 안보고도 잘들 살고 있지 않은가?
잘 보고 있지도 않던 책을 아이패드가 생겼다고 볼 가능성이 그렇게 크지도 않고
종이 신문은 인터넷 신문으로 중심축이 옮겨진지 오래 되었다.

그럼에도 아이패드가 큰 성공을 거둘 수 밖에 없는 이유는 다름 아니라 화면의 크기 때문이다.
아이폰이 최고의 휴대성, 유용성, 편리함을 가지고 있지만 태생적으로 가지고 있는 한계는 화면의 크기이다.
3명 이상만 되어도 내 휴대폰의 어떠한 기능이나 화면을 다른 사람에게 보여주는 것은 힘들다.
수많은 사람들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을 이용하는 것은 아이폰이 더 뛰어나지만
나의 가족, 친구들, 동료들과 재미, 교육을 공유(체험)하는 것은 아이패드가 훨씬 뛰어나다.

(사진은 닌텐도 위를 즐기는 모습, 닌텐도 위는 아이패드와 경쟁할 수 밖에 없다)

아이패드는 나 자신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과 같이 즐길 수가 있다.
나 자신이 이용하기에도 아이폰보다 훨씬 큰 화면으로 아이패드를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한 기능의 대표적인 것이 전자책(e-book)이다.



전자책 시장은 엄청난 성장을 할 것이다.
이유는 간단하다. 종이책에 비해 가볍고, 많이 저장할 수 있으며 원하는 부분을 찾기도 쉽다.
그렇다면 종이책이 없어질까? 그렇지는 않다.
라디오와 TV가 공존하고, 종이신문과 인터넷 신문이 공존하는 것처럼 전자책과 종이책은 공존할 것이다.
하지만, TV와 인터넷 신문처럼 전자책은 결국 사람들이 대부분 선택할 수 밖에 없는 그러한 도구가 될 것이다.

그렇다면 그렇게 성공하게 될 전자책에서 아이패드가 다른 전자책들과 달리 가지고 있는 장점은 무엇일까?
현재까지 가장 많이 팔린 아마존의 킨들과 비교하면 답이 간단해진다. (2010년 4월 현재까지 150만대 판매 추정)
아이패드는 화면이 컬러이고, 킨들은 화면이 흑백이다.

(아마존 전자책 킨들)


(아이패드)


종이책은 원래 흑백이니 컬러책이 큰 의미가 없다고?
책을 왜 읽는지에 대한 근본적인 이유를 생각하면 답이 쉽게 나온다.
책은 기본적으로 지식의 습득, 지적인 재미를 위해 읽는다. 시간을 때우기 위해 읽는 것 또한 지적인 재미의 하나로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컬러를 쓰는 것이 학습하고 새로운 사실을 보다 효율적 얻기 위해 당연히 선택하는 것이 아닐까?
어린아이들에게 컬러책을 사주는가? 흑백책을 사주는가?
아직 흑백TV 또는 흑백 모니터를 사용하고 있는 사람이 있는가?

이제는 아이패드가 성공할지 안할지를 고민하는 것이 아니라
아이패드의 엄청난 성공이 예견되는 상황에서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일지를 고민해야한다.

아주 심각하게 고민할 때이다.


참고자료 : 리서치결과로 예상하는 한국에서의 I-Pad 경쟁구도 - 윤덕환
 http://www.digieco.co.kr/KTFront/report/report_issue_trend_view.action?board_seq=3590&board_id=issue_tren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