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경영

[펌글] 예술경영 공부하기

by 202020 2012. 2. 29.
반응형
원문보기
http://blog.daum.net/nellholic7/7639826 

예술경영> 공부의 주요한 대상은 다음의 3가지이다.

- 예술가및 예술단체에 대한 연구

- 문화공간(공연장, 미술관등) 에 대한 공부

- 공연기획/전시기획등에 대한 공부등이다.


위 대상에서 보듯 예술경영 공부는 어렵고 재미있다 

어려운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실무와 연계된 부분이 많다

2. 다양한 시각을 통해 접근한다 

3. 문화적인 흐름에 따라 지속적인 관심과 공부가 필요하다.


예술경영에 대한 공부...어디서부터 어떻게 시작해야 할까?


사람에 따라 다르겠지만 예술경영 공부를 제대로 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준비가 필요하다고 본다...


1. 무엇보다 기초가 튼튼해야 한다...

예술경영 공부를 위해 폭넓은 기초 공부가  필요하다. 

- 문화(예술) 자체에 대한 연구 : 문화(예술)란 무엇인가?  문화(예술)의 속성과 다양한 문화 접근법

- 문화(예술)경제학 :  문화/예술에 대한 경제학적인 접근을 비롯해서 경제학 전반에 대한 지식..

충분히 공부하시길 바란다....


2. 현장과 연계된 공부가 필요하다..

  이론으로 충분히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많이 있다.

  현장의 실전 경험이 상당히 중요하다


3. 트랜드(trend) 파악이 상당히 중요하다

  문화(예술)는 물 흐르듯이 흐르는 것이며 항상 변화한다.   

  문화적인 현상을 주의깊게 관찰하는 것이 중요하다.


아래의 내용은 초보자 혹은  예술경영학과나 대학원 진학 희망자 분들을 위해 이미

출판된 단행본 책을 중심으로 최소한 공부해야 할 내용이라 생각되어 나름대로 정리해 본 것이다.


1. 예술경영의 기초 공부

<예술경영>에 대한 기초는 <예술경영 개념과 대상/예술경영 역사/예술시장의 특성> 정도 될 것이다


<예술경영의 개념과 대상>은 대부분 예술경영관련 책들이 다루고 있으므로

읽어보길 바란다. <예술경영입문-홍승찬저>와 <예술경영-김영사간>

<문화경제론-김문환저> 정도를 보면 무난할 듯...


<예술경영의 역사>는 고대 그리스시대까지 거슬러 올라 가지만 미국의 경우 1960년대,

한국의 경우 1980년대 이후 급격한 문화폭발(문화수요와 공급의 붐 현상)에서 단초를

찾는다.


<예술시장의 특성>은 일반 제품과 다른 문화/예술 상품의 특성, 예술시장 수요와 공급 측면을  다룬 것인데....

<예술시장 조사설계연구-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간>을 중심으로

가격 탄력성을 다룬 <문화경제학-서정교저> 이 도움이 될 것 같다....


2. 다음 좀 더 세밀하게 들어가면


(1) 예술시장에 대한 전체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예술시장은 캐나다 문화부의 창조적인 가치사슬 분석틀을 이용해서 제작-유통-소비의

    단계로 나누어진다. 단계별로 규모를 추산하고 그 결과 전체 시장 크기를 예측할 수 있다  

    공연예술시장과 미술시장에 대한 개별 분석이 필요하다


 

(2)  <예술상품과 예술공간의 마케팅>에 대한 공부가 필요하다.

   <예술경영-김영사간>에서 예술상품관련 마케팅에 대해 자세히 되어 있으므로

   충분히 읽어 볼 것을 권한다..

    <예술상품의 마케팅>과 함께 <예술공간에 대한 마케팅> 공부가 필요하다

    논문 <문화예술기관을 위한 마케팅전략기획-김소영저> 정도면 무난하다.


    <예술상품의 마케팅> 에서는 앤드리슨의 공연예술의 수용단계에 대한 공부를

     빼놓지 않고 하길 바란다
 


(3) <예술단체와 예술가 매니지먼트>는  앞선 <예술경영-김영사간> 책을 중심으로

   <예술단체의 재원조성과 투자유치-김성규저>를 통해 심도있는 접근이 가능하며....


(4) <공연예술과 전시예술>에 대해서....

   예술경영 분야에서 대표적인 것이 <공연과 전시>분야이다.

   두 분야에 대한 공부가 필요하다.

   초보자들에겐  <문화경제학 만나기-김영사간>을 권한다..

   책 내용 가운데 공연과 전시 프로세스가 잘 설명되어 있다


(5)  이와함께 <공연과 전시>를 위한 문화공간인 <극장 & 미술관/박물관 경영>

    공부가 필요하다....


  <극장 경영>에 대해서는 <극장 경영과 공연제작-이승엽저> 중심으로

   논문 <문화예술기관을 위한 마케팅전략기획-김소영저>를 보시길...
 

   <극장 경영>에 대해 심도있게 공부하고자 하는 분은 카페 공지글인

   <극장 건축& 경영 공부 어떻게 할까?>를 읽어보시길 바란다....   


   <미술관/박물관 경영>은 <박물관학개론-이보아>, <성공한 박물관 성공한 마케팅-이보아>

   를 기본서로 하여 <박물관미술관학-뮤지엄경영과 전략>  <박물관 .미술관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간> 을 읽으면 충분히 감을 잡을 수 있다..
 

   나아가   <미술관전시-이론에서 실천까지-학고재간>

  <전시 이렇게 만든다-박우찬저>등도 읽어 보시길 바란다..


   <뮤지엄 경영>에 대해 심도있게 공부하고자 하는 분은 카페 게시판

   <박물관/미술관 공부방>를 참조하시길 바란다....   


(6) <문화정책과 문화마케팅>에 대한 공부가 필요하다.

   <문화정책>은 <문화정책론-정철현저>에서 큰 줄기를 잡고

   <문화정책-이흥재저> 를 통해 보다 심도 있는 접근이 가능하다.


   <문화마케팅>은 <컬덕시대의 문화마케팅-김민주외>를 읽어보시도록...

    문화마케팅의 기본 개념에서 공연과 전시 메카니즘을 설명하고

    나아가 기업메세나운동까지 정리가 잘 되어 있다.


    이와함께 <한국메세나협회>에서 매달 발행하는 잡지를 추천한다.

    기업의 문화지원에 대한  보고서와  최근 소식이 실려 있다.


(7) <문화산업>은 <문화산업의 이해-김재범저> 정도를 참조하시면

     문화산업에  대한 충분한 내용을 얻을 수 있으리라 여겨진다 .


    문화의 산업화 이론에서 시작해서  애니,방송,영화,게임,음반, 출판등

    각 분야를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산업화에 접어든 공연예술- SERI 보고서>도 도움이 되니

    반드시 읽어 볼 것을 권한다.
   

    문화산업 측면에서 <스타 마케팅>, <한류와 문화산업 >, <저작권> 에 대한 공부도

    관련 책과 자료를 통해 충분히 공부하길 바란다....
 

    미래 디지털 사회에서 문화(예술)의 변화와 발전상을

    전망하는 공부도 필요하다. 


 

(8)  마지막으로  <문화경제론-김문환저>를 보면 최근 문화경제학계에서 쟁점이 되는

      주요 사항을 다루고 있다..참고로 보시도록....


이상의 공부를 바탕으로 각 대학원마다 <예술경영>관련 다양한 논문들이

최근 많이 나오고 있다  충분히 읽어보기를 바란다...

문화관광부,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한국문화경제학회,

한국예술경영학회, 한국메세나협회, 한국공연예술매니지먼트협회,

한국공연프로듀서협회, 한국박물관경영마케팅학회, 한국미술협회,

한국뮤지컬협회등에서 정기적인 세미나와 발표회를 개최하니

적극적으로 참여해서 문화예술관련 최신 동향을  항상 접하는 것이 중요하다. 


3. 현장 실습을 병행하며...


예술경영에 대한 공부는 실무적인 부분이 많이 포함되므로  이론 공부 이외에

공연이나 전시 현장에서 일해보길 바란다. 


공연과 전시분야도 산업화에 접어들고 있는 만큼 예술경영은 전망이 있는 분야이다.

누구든지 관심을 가지고 열심히 공부한다면 좋은 성과가 있을 것이라는 것이

필자의 생각이다.


기본적인 사이트로는  <한국예술경영학회> http://www.kartsnet.org  를 중심으로 

예술경영지원센터 http://www.gokams.or.kr

<예술시장 분석과 문화경제>에 대해서는 <문화경제학회> http://www.acekorea.or.kr

<문화정책> 및 <문화산업>과 관련해서는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http://www.kctpi.re.kr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을....  http://www.kocca.or.kr

삼성경제연구소 http://www.seri.org  ......

한국메세나협회 http://www.mecenat.or.kr  참조하시고..

외국저널로는 <저널 오브 컬쳐 이코노믹> (journal of culture economics)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