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이름 : 성과를 내는 팀장은 다르다
지은이 : 데니 F. 스트리글, 프랭크 스위어택
옮긴이 : 홍윤주
출판사 : KOREA.COM
P17
팀장의 최우선 순위는 성과다
수익증대
신규고객 유치
기존고객 유지
비용절감
P73
잭은 성과에 대해 이야기하는 데서 그치지 않았다. 매장, 콜센터, 지점 사무실 그리고 다른 직원이 모두 볼 수 있도록 화이트보드에 성과를 게시해 직원들이 목표를 달성하는 과정에서 어디에 위치해있는지 정확히 알게 했다.
P75
팀장들이 결함이나 목표달성에 실패한 경우 보통 ‘노력을 배가하겠습니다’라고 말하지만 켄은 이 말을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았다. 대화가 불편해지는 한이 있었도 ‘정확히 어떤 노력을 배가할 것인가?‘라든지 ‘구체적으로 어떤 조치를 취할 것인가?’라는 질문을 던졌다.
P90
4대 원칙을 지켜라 : 수익증대, 신규고객 유치, 기존고객 유지, 비용절감.
수량화 할 수 있고 평가 가능한 목표를 세우고 그 목표에 비교해 자신의 성과를 평가하라.
자신의 목표가 직접적으로 혹은 최소한 간접적으로라도 기업의 전체 목표와 연계되게 하라.
사무실에서 벗어나 성과를 이끌어내라. 실제 업무는 사무실 안이 아니라 밖에서 일어난다.
P104
성과를 내는 데 문제가 있다면 그 문제를 야기하는 기본적인 원인을 파악하야 한다. 그 과정은 다음의 세 가지 단계로 나눌 수 있다.
평가 가능 요소 중에서 개선이 필요한 것을 파악한다.
예를 들어 영업 담당자가 판매 할당치를 달성하지 못한다면, 그 원인은 마케팅 전화건수, 약속 건수, 판매 건수 등에 문제가 있기 때문일 수 있다. 엔지니어가 제때 프로젝트를 완수하지 못했다면, 프로젝트를 완결하기 위한 주간 업무 계획이 잘못되었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각각의 경우 평가할 수 있는 요소들을 파악해야 한다.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하루에 이루어야 할 목표를 세운다.
하루 단위로 나눠 정해진 사항에 맞춰 목표를 달성해야 한다. 예를 들어 제조팀장은 제품 결함을 하루 네 건씩 줄여 분기별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
어떤 행동을 변화시켜야 하는지 파악한다.
특정 행동에 집중하는 단계이다. 팀장이 코치 역할을 해야 하는 단계다. 마케팅 전화를 더 많이 하고 있는가? 더 나은 성과를 얻을 수 있도록 영업담당자의 영업 내용에 변화를 주고 있는가?
P106
성과 논의를 할 때 쓰는 좋은 표현/나쁜 표현
구체적인 행동에 관해 거론한 좋은 예
다른 부서간 주간 요청에 회답하지 않음
핵심 가치를 논의하는 회의에 참석하지 않음
다른 부서가 보낸 이메일에 즉각적으로 답신하지 않음
비유, 일반론, 태도를 거론한 나쁜 예
당신이 우리 부서에 벽을 만들고 있어
당신은 우리의 방향을 지지하지 않는군
팀원과 협동하는 태도를 개발할 필요가 있네
P116
항상 간단 명료하게 자신을 표현하라. ‘반 페이지에 간결하게’ 개념을 명심하라.
모호하고 두루뭉술한 표현은 삼가라. 이러한 표현을 사용하면 의미가 분명하게 드러나지 않아 사람마다 다르게 해석할 수 있다.
회의를 잘 조직하라. 당신이 소집하는 모든 회의에 목적이 있도록 하고, 정시에 시작해 정시에 마치라.
P117
발표 자료를 취합하기 전에 다음 문장을 읽어 보길 바란다.
‘이 발표를 듣고 나서, 모든 분들이 ....을 알게 되고 앞으로 ....을 하시기 바랍니다’
자, 이제 당신이 준비한 자료가 이 문장을 말하는 사항에 도움이 되는지 시험해 보라.
P195
이메일 내용은 간단해야 한다. 수신자가 메일을 확인하지 않을 수도 있음을 감안하라. 제목이나 미리보기에 메일의 요지가 드러나게 하라.
이메일에 5분이상 시간을 들이지 말라. 그 이상의 시간이 걸린다면, 전화기를 들어라.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