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경제, 경영9 경제를 망치는 주범? CDS CDS (Credit Default Swap) 기업의 부도위험 등 ‘신용’을 사고 팔 수 있는 신용파생상품 거래. 대출이나 채권의 형태로 자금을 조달한 채무자(B기업)의 신용위험만을 별도로 분리해 이를 시장에서 사고파는 금융파생상품의 일종이다. 자본시장(JP모건)이 신용위험에 대한 수수료(프리미엄)를 받고 위험을 부담하는 보험사 역할을 한다. CDS는 금융기관 대 금융기관의 파생상품거래이기 때문에 CDS거래의 건수 및 양이 많아져야 시장이 활성화된다. JP모건의 블라이드 마스터스 글로벌상품 부문 대표가 1997년 개발해 전 세계를 상대로 판매했다. 즉, A가 B의 CDS를 구매하고 B를 망하게 한 뒤에 보험사로 부터 CDS에 해당하는 보험금을 타는 방식이다. 보험의 기본원리인 피보험 이익(insurabl.. 2012. 2. 2.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