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183 승자는 적이, 패자는 친구가 많다. 정곡을 찌르는 말이다. 승자는 이겼기때문에 자신에게 진 다른 사람들이 적이 될 수 밖에 없고 패자는 자기와 같이 진 사람들이 있기에 친구가 많다. 어느쪽을 선택할 것인가? 2009. 6. 13. 프레젠테이션이란? 집중을 해서 말해야 한다. 하고 싶은 말을 하는 자리가 아니다. 해야 할 말을 하는 곳이다. 2009. 6. 13. 돈이 인생의 모든 잣대는 아니다 - 김방희 기자 수칙:1. 모든 일을 돈 문제로 보지마라. 몇 년 전 스위스 에서 벌어졌던 일도 비슷했다. 스위스 정부가 한 지역에 방사성폐기물저장고(방폐장)를 건설하기로 하고 주민 찬반 투표를 했다. 결과는 찬성 50.8%로, 반대를 근소한 차이로 앞질렀다. 이 지지율에 만족 못한 정부는 방폐장 유치에 찬성하는 주민들에게는 500만원가량을 보조금으로 지급하기로 했다. 이 결정 이후 다시 투표를 했다. 찬성률은 24.6%로 추락하고 말았다. 아무것도 안 받는 것에 비하면 500원을 받는 게 그나마 낫다. 500만원은 말할 것도 없다. 왜 이렇게 돈에 관한 상식에 배치되는 일이 벌어지는 것일까? 돈을 받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 사람들의 마음가짐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한 푼도 주지 않으면서 컴퓨터 작업을 하는 사람들은 .. 2009. 6. 13. [김선하 기자의 주주클럽] 내가 사면 떨어지고, 팔면 오른다고? 또 털렸다. 개미투자자 얘기다. 정보기술(IT) 주식이 좋다기에 샀더니 석 달도 안 돼 평균 26%나 빠졌다. 코스피지수(-17%)보다 훨씬 나쁜 성적이다. 지난해 말에는 중국 펀드에 당했고, 최근엔 믿었던 자원부국 펀드가 애물단지가 됐다. 뭐든지 내가 사면 떨어지고, 팔면 꼭 오른다. 이쯤 되면 투자고 뭐고 집어치우고 싶어진다. 하지만 너무 자책할 필요는 없다. 주식·채권 운용을 모두 해본 SH자산운용 서준식 채권운용1팀장은 “사람의 마음은 원래 돈을 잃게 만들어져 있다”고 말한다. 자산운용사에 들어오기 전 주식투자 실패로 호되게 고생한 뒤 내린 결론이란다. 인간 심리와 경제 현상을 연결한 행동경제학 이론 중에 ‘손실 혐오’란 게 있다. 사람은 이익을 내는 것보다 손실을 피하는 쪽을 훨씬 선호한다는 것.. 2009. 6. 13. 이전 1 ··· 273 274 275 276 277 278 279 ··· 296 다음 반응형